인기 글
-
모든 교사가 갖추어야 할 20가지 자격
해외 사이트에 올린 내용을 번역/편집한 내용인데 개인적으로 공부도 할 겸 내용이 좋아서 올립니다. 수업에 들어가기 전 그리고 후 한번씩 check-list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올리고 있는 '21세기 교사의 역할'과도 중첩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모든 교사가 갖추어야 할 20가지 기본적인 기술과 자격 # 항목 내용 1 열정 좋은 교사들은 자신의 직업과 수업에 열정적이어야 하고 학생들에게도 자신들과 같은 정열을 나누도록 격려해야 한다. 2 지도력 효율적인 교사들는 그들의 교실을 이끌고 지도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조직력 교사는 수업 계획, 활동부터 채점까지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자신의 역할에 성공적이기 위해서 그들에게는 특별한 조직 능력이 필요하다. 4 공손함 좋은 교사는 교실에서..
2019.11.30
-
어린왕자 줄거리 (예제)
어린왕자는 줄거리 요약이 쉽지 않네요. 실제 동화책이지만 어른을 위한 동화책이기도 하고 원어는 불어인데 영어 번역본이다 보니 행간을 읽기도 어려운 부분들이 많습니다. 아래 줄거리는 참고용입니다. 학생들이 책을 읽고 줄거리와 자신의 생각을 연결하는 작업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영어로 쓰는... 책 선정은 쉽게 읽히는 것과 난이도가 조금 있는 것으로 교차하면서 진행하려고 합니다. 어린왕자는 난이도가 있는 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이 책을 읽고 아이들 생각이 어떨지 궁금합니다. Plot Overview (줄거리 요약)The narrator, an airplane pilot, crashes in the Sahara desert. The crash badly damages his airplane and le..
2018.10.14
-
교수요목의 종류
교수요목의 종류: 교수요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유형 내역 결과 지향적 (Product-oriented) 언어 학습의 결과를 강조 세부적인 언어 항목(음운, 어휘, 문법 등)을 나누어서 학습하면 의사소통 상황에서 통합하여 사용 가능하다고 봄 → 언어 항목을 작은 단위로 쪼개어서 제시 ※ 예: 구조 접근(structural approach), 상황 접근(situational approach), 개념.기능 접근(notional/functional approach), 화제 접근 등 과정 지향적 (Process-oriented) 의사소통 기술를 향상하고, 학습자가 수행하는 학습 과업과 활동의 과정을 중시 문법, 어휘 등의 언어 요소 선정은 부수적이며 수업 절차나 과제 선정이 우선적 → 언어가 사..
2019.12.29
-
교수법 <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
방법론 청화식 접근법과 상황식 언어 교수법을 중시하는 언어 이론들이 1960년대 Chomsky(1957)와 같은 탁월한 언어학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을 때, 새로운 언어 교습법이 교실로 도입되었습니다. 그 배경은 영국의 응용 언어학자들이 언어의 기능적 및 의사소통적 잠재성을 강조한 것에서 시작됩니다.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또는 The Communicative Approach)으로 소개된 이 새로운 접근법은 제2외국어의 교수 접근법이었는데,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의미와 최종 목표 모두로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 교수법은 언어는 의사소통이라는 이론에서 출발합니다. 언어 교수 목표는 Hymes(1972)가 말한 "의사소..
2019.11.11
-
커리큘럼과 교수요목은 무엇인가?
온라인 수업 중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 수업 중 한국어교육과정론이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영어로 Curriculum이라고 하지요 교육과정과 땔 수 없는 관계가 있는 것이 교수요목(Syllabus)인데 수업에서도 중요해서 2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기 다른 과목으로 수업을 받다 보니 교육안(Lesson Plan), 교육과정(Curriculum), 교수요목(Syllabus)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어 과정을 준비하는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많이 혼동이 오는 것이 사실입니다. 교육과정(Curriculum)은 교육 과정이나 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쳐야 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말하고 교수요목은 특정 과목에서 교수해야 하거나 커버되어야 하는 주제의 요약으로 설명됩니다. 그리고 교육안(Lesson plan)..
2019.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