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글
-
헬렌 켈러의 일생
영어원서 네 번째 책은 교육적으로 매우 의미가 있는 인물 ‘헬렌 켈러(Helen Keller: 1880-1968)을 선택했습니다. 책은 난이도가 낮은 (Level 3) Scholastic 출판의 'A Girl Named Helen Keller'입니다. 자료를 올리기 전에 헬렌 켈러의 생애부터 알아보고 가야 할 것 같아 자료를 검색해서 번역해서 올립니다. (자료 출처: https://www.biography.com/)youtube에도 많은 영상이 올라와 있습니다. 검색해서 도움이 될 자료는 올릴 예정입니다.Helen Keller - 교육학자, 사회운동가, 저널리스트 (1880-1968)헬렌 켈러는 시각장애과 청각장애의 이중장애의 역경의 극복하고 20세기의 선두적인 인도주의자 중의 한 명이 되었다. 1880..
2018.10.15
-
모든 교사가 갖추어야 할 20가지 자격
해외 사이트에 올린 내용을 번역/편집한 내용인데 개인적으로 공부도 할 겸 내용이 좋아서 올립니다. 수업에 들어가기 전 그리고 후 한번씩 check-list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올리고 있는 '21세기 교사의 역할'과도 중첩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모든 교사가 갖추어야 할 20가지 기본적인 기술과 자격 # 항목 내용 1 열정 좋은 교사들은 자신의 직업과 수업에 열정적이어야 하고 학생들에게도 자신들과 같은 정열을 나누도록 격려해야 한다. 2 지도력 효율적인 교사들는 그들의 교실을 이끌고 지도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조직력 교사는 수업 계획, 활동부터 채점까지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자신의 역할에 성공적이기 위해서 그들에게는 특별한 조직 능력이 필요하다. 4 공손함 좋은 교사는 교실에서..
2019.11.30
-
"Who Moved My Cheese?" 줄거리 참고용
치즈 그림만 보고 어린이 책인지 알고 선택한 책인데 단어는 단순해서 수업에 가능할 것 같은데 거의 철학서입니다. 저도 공부하느라 고생 많이 했습니다. Story one - a Gathering in Chicago 과 "Who Moved My Cheese" Story, 그리고 마지막 Discussion 부분으로 치즈이야기는 끝납니다. 단순한 단어, 단순한 캐릭터들, 그러나 던지는 메시지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읽을수록 빠져드는 책이네요. 아이들이 줄거리 정리해서 자시의 의견을 첨삭하기가 어려울 것 같아 나름대로 본문을 짧게 정리해서 영문과 한글로 올립니다. 처음에 이 책을 대했을 때 무슨 책이지 싶었는데 솔직히 제가 몰랐습니다. 세계적으로 2400만부 이상이 팔린 베스트 셀러인데 유투브에서 줄거리 요약본을 ..
2018.10.18
-
문법 지도안과 수업 자료
어제 기다리던 한국어 문법 책이 왔는데 예상은 했는데 두께로 보아서 정말 문법 사전이 두 권 왔습니다. 한 권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 초급|조사.표현.어미」인데 최근 2018년 집문당 출판입니다. 중급도 있는데 제가 실습할 대학에서 초급으로 진행한다고 해서 초급으로 주문했습니다. 다른 한 권은 국립국어원이 지은이이고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용법 편)」인데 2005년 출판이라 살까 말까 했는데 대학에서 추천해 주셔서 같이 주문했습니다. 거의 1000쪽이 되는 분량으로 재판 의사가 없냐는 글들이 국립국어원에 올라와 있던데 엄두를 못 낼 것 같습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은 계속 보면서 수업 준비를 해야 할 책으로 보이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2019.12.04
-
교수법 <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
방법론 청화식 접근법과 상황식 언어 교수법을 중시하는 언어 이론들이 1960년대 Chomsky(1957)와 같은 탁월한 언어학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을 때, 새로운 언어 교습법이 교실로 도입되었습니다. 그 배경은 영국의 응용 언어학자들이 언어의 기능적 및 의사소통적 잠재성을 강조한 것에서 시작됩니다.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또는 The Communicative Approach)으로 소개된 이 새로운 접근법은 제2외국어의 교수 접근법이었는데,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의미와 최종 목표 모두로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 교수법은 언어는 의사소통이라는 이론에서 출발합니다. 언어 교수 목표는 Hymes(1972)가 말한 "의사소..
201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