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중에 나오는 외국인 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자료를 찾고 포스팅합니다.
1. Canale & Swain(1980)의 의사소통 능력
1980년 응용 언어학자인 Canale & Swain은 의사소통 능력은 네 개의 하위 능력을 요구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문법적 능력 (문법적으로 올바른 발화를 할 수 있는 능력)
- 사회언어학적 능력 (사회언어학적으로 적절한 발화를 할 수 있는 능력)
- 담화 능력 (일관성 있고 응집력 있는 발화를 할 수 있는 능력)
- 전략적 능력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해결하는 능력)
전략적 능력은 의사소통 중에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의사전달자(communicator)는 상호작용 중에 빈번히 일어나는 불가피한 의사불통을 "바로잡는(repair)"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들이 주장하는 네 가지 능력 중에서 제2외국어 교육에서 어떠한 능력이 가장 주목을 받았을까요? 그 이유는? 제2 또는 제3언어로서의 여러분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하여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은 이 네 가지 능력에서 다 강한지?
- Canale, M. and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 (1), 1-47. -
2. Krashen(1980)의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Backing 1980, professor Krashen introduces a learning second language theory. The professor Krashen talks about five-type theory of second language, including the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the Monitor hypothesis, the Natural Order hypothesis, the Input hypothesis, and 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In 1980, professor Krashen theory gets huge impact, but as time move on, people started challenging his idea. In the 1990, Professor Swain has introduced the new output hypothesis of the second language. His hypothesis has three ideas, including the noticing/triggering function, the hypothesis-testing function, and the reflective function. Both theories’ goal is to help people to learn a new language.
1980년에 크라센 교수는 제2언어 학습 이론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제2언어의 5가지 이론에 대하여 말합니다. 그것들은 언어습득 가설, 모니터 가설, 자연 습득 순서 가설, 입력 가설, 그리고 정의적 여과장치 가설입니다. 1980년 크라센 교수의 이론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생각은 도전을 받기 시작합니다. 1990년에 스와인 교수가 제2언어의 '출력 가설'을 발표합니다. 그의 가설에는 세 가지 생각이 있는데 그것들은 noticing/triggering function, hypothesis-testing function과 reflective function입니다. 결국 이 두 이론들의 목표는 사람들이 새로운 언어를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습니다.
Krashen’s theory has five-importance hypothesis of a second language, first, the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are talking about two different ways to affect people learning a second language. Second, the Monitor hypothesis is reflecting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Acquisition-Learning. Thirty, the input hypothesis is the main idea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e Input hypothesis is to explain how the learner acquires a second language.
크라센의 이론은 제2언어로서의 5개의 중요한 가설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학습 인지 가설은 제2언어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둘째, 모니터 가설은 인지와 학습 사이의 관계의 유형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셋째, 입력 가설은 제2언어 습득의 중요한 아이디어입니다. 입력 가설은 학습자가 제2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설명합니다.
In other words, this hypothesis is Krashen's explanation of how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akes place. So, the Input hypothesis is only concerned with 'acquisition', not 'learning'.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the learner improves and progresses along the 'natural order' when he/she receives second language 'input' that is one step beyond his/her current stage of linguistic competence. For example, if a learner is at a stage 'I', then acquisition takes place when he/she is exposed to 'Comprehensible Input' that belongs to level 'I + 1'.
다시 말하면, 이 가설은 제2언어 습득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가에 대한 크라센의 설명입니다. 따라서 입력 가설은 '학습'이 아니라 '습득'에만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가설에 의하면, 학습자는 자신이 제2언어 '입력'을 받을 때 '자연적 순서'에 따라서 향상되고 진전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입력'이란 학습자 자신의 현재 수준의 언어 능력보다 한 단계 높은 입력을 의미합니다. 예로, 학습자가 'I'란 단계에 있을 경우, 그가 '이해 가능한 입력' 즉, 'I + 1'에 노출되어 있을 때 습득이 발생한다는 설명입니다.
"Since not all of the learners can be at the same level of linguistic competence at the same time, Krashen suggests that natural communicative input is the key to designing a syllabus, ensuring in this way that each learner will receive some 'I + 1' input that is appropriate for his/her current stage of linguistic competence." this mean when you want to understand the input hypothesis of a second language, you must figure out four types of second language. One, comprehensive, Krashen believed that understanding the input languag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learning, if learners cannot understand the transmission of language information (...)
"그러나 동시에 학습자들이 같은 수준의 언어 능력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각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 능력 단계에 적합한 'I + 1' 입력을 받아야만 자연적인 의사소통 입력이 교수요목을 디자인하기 위한 열쇠가 된다"라고 크라센은 주장합니다. 그래서 제2언어의 입력 가설을 이해하기를 원한다면 제2언어의 4가지 유형을 이해해야 합니다. 하나는 이해 가능한(comprehansive)란 단어인데, 만일 학습자들이 언어 정보의 전송(transmission)을 이해하기 못한다면 크라센은 입력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 학습을 위한 필요 조건이라고 믿었습니다. (...)
3. Swain(1980)의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
Merrill Swain이 개발한 '이해 가능한 출력 가설'(Comprehensive Output Hypothesis)은 제2언어 습득(L2)에 대한 이론으로 그녀는 학습자가 제2언어의 언어 지식에서 차이(gap)를 만날 때 학습이 일어난다고 주장합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출력을 인지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언어에 대한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됩니다. 아래는 Swain 교수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Slideshare.net에 올라온 한 학생의 자료를 참조하였습니다.
Swain에 의하면 "출력 가설은 언어 생산의 활동(speaking과 writing)은 어떠한 상황 아래에서 제2언어 학습의 과정을 구성합니다."
The output hpothesis claims that the act of producing language (speaking and writing) constitute uner circumstances, part of the process of second language learning" - Merrill Swain
스와인에 의하면 출력의 세 가지 특별한 기능이 있으며 그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The noticing:
의미 전달에 필요한 것을 정확하게 말하고 쓸 수 없을 때 학습자가 발견하는 인지 또는 "noticing(깨달음)" - The hypotesis-testing function:
학습자가 피드백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신의 생산(production)을 테스트하기 위해 "trial and effor, 시행착오"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것을 발화함으로 학습자는 이 가설을 테스트하고 대화자(청자)의 피드백을 받는다. - The metalinguistic function: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하는 언어를 되돌아보고 출력은 학습자가 언어 지식을 통제하고 내재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해가능한 출력(CO) 가설은 우리가 메시지를 전송하려고 시도할 때 언어를 습득하지만, 실수를 하고 다시 시도한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우리는 우리의 발화의 올바른 형식에 도달하게 되며, 우리의 대화 파트너(청자)는 결국 이해하게 되고 우리가 생산한 새로운 형식을 얻게 됩니다. Swain은 CO가 우리의 언어 능력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때때로 어떤 상황에서 출력은 다른 형식의 제2언어 학습을 용이하게 하며 그러한 입력을 향상시킵니다."
지속적인 연습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생산에 대하여 인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합니다. 출력은 의미론적 처리로부터 정확한 생산을 위한 완벽한 문법 처리로 학습자를 이동시킵니다. 피드백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학습자가 목표어와 연결하는 몇 가지의 설정 중 하나이기 때문이며, 그들은 자신의 생산 향상을 위한 조언과 수정이 필요합니다.
교실에서 적용할 경우, 학생들이 편하게 느끼고 같이 작업하기 위해서는 협동과 상호작용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언어의 중재 역할로 학생들은 제2언어 습득에서 그들이 만나게 되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인도됩니다. 이 가설로 인해 환경에서 학생에게 제공되는 입력 자료에서 학습자의 능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언어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가설은 매우 중요합니다.
Compare the professor Krashen’s input hypothesis, Swain theory only has three ideas. “First, the noticing/triggering function: “It refers to the awareness or “noticing,” Students find when they cannot say or write exactly what they need for conveying meaning. With the use of this function, learners realize there are some linguistics problems they need to manage, so that, it pushes the student to look for the adequate knowledge they require for completing the new discovered gap”.
크라센 교수의 입력 가설과 비교하면 스와인의 이론은 3개의 아이디어만 가집니다. 첫째, noticing/triggering 기능입니다. 이것은 인지 또는 "깨달음(noticing)"과 관계가 있습니다. 학생들이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그들이 필요한 것을 정확하게 말하고 쓰지 못할 때 그 차이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은 그들이 관리할 필요가 있는 어떤 언어적 문제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래서 이 새롭게 발견된 차이(gap)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지식을 찾게 됩니다.
This means learning a new language they are some problems for the learner to conquer, like reading and writing the word that he/she don’t know. Second ideas from the Swain theory include “The hypothesis-testing function: This function suggests learners may use the method of “trial and error” for testing her /his production expecting to receive a feedback. This feedback can be applied in two ways: recasts and elicitations or clarification requests.”
이 의미는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자신이 모르는 단어를 읽거나 쓰는 것과 같이 학습자가 극복해야 할 문제기 있다는 것입니다. 스와인 이론의 둘째 생각은 "가설-시험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피드백을 받기를 예상하는 자신의 생산을 시험하기 위한 "시행착오"의 방법을 학습자들이 사용하기를 제안합니다. 이 피드백은 두 가지 방법 즉, 재구성 및 이끌어내기 또는 설명 요청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This idea explains that when learning a new language, learner often makes mistakes, which can help them to understand the language. The last idea of Swain theory includes “The metalinguistic (reflective function): Language is seen as a tool conducive to reflection on the language used by the teacher, their partners and the student himself/herself.” (Vigotsky´s sociocultural theory) The meaning behind this idea is to show how learner can learn the new language by the influence of their relativities. Swain theory explains the process of learning a new language and teaches who can influence the learner to learn.
이 생각은 학습자가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학습자는 자주 실수를 하며, 그러한 실수는 그들이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스와인의 마지막 생각은 "메타언어: 언어는 교사, 그들의 동료들과 학생에 의해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반영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서 본다"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생각의 배후의 의미는 그들의 상대성 이론의 영향으로 학습자가 어떻게 새 언어를 배우는 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와인 이론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고 학습자가 학습을 하는 데 누가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Dr. Merril Swain은?
- 어바인의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1972년 박사학위
- 지난 38년간 토론토 대학(UT)에서 Ontarion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OISE)의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Department에서 교수로 재직 중
- 1981년~1990년 UT에서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on Language and Literacies(CERLL) 담당
- 2007년 퇴직 후에서 UT에서 명예교수로 활동
- 1985년 Dr. Steven Krashen의 이해 가능한 입력 가설(1984)에 대하여 제2언어 습득에서 이해 가능한 출력 가설로 반론
- John C. Helper, 2010
4. Krashen의 입력 가설과 Swain의 출력 가설 비교
Krashen’s Input Hypothesis and Swain’s Output Hypothesis have many differences. All of difference including Krashen theory is limited and incomplete. First, on the issue of language learning is subconscious and conscious. To determine what kind of system acquisition or learning is very difficult. Secondly, Krashen believed that learning does not coincide with the acquisition...
크라센의 입력 가설과 스와인의 출력 가설은 많이 다릅니다. 크라센 이론을 포함한 모든 차이는 제한적이고 완전하지 않습니다. 첫째, 언어 학습에 대한 이슈에 대해서 잠재의식적이고 의식적이라는 점입니다. 어떠한 종류의 시스템 습득과 학습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둘째, 크라센은 학습은 습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This hypothesis postulates that human language acquisition there is only one-way, namely through comprehensible input on the possible acquisition, but Swain believes that reasonable external factors can also help people learn languages.
크라센의 가설은 인간의 언어 습득에 단지 한 가지 즉, 가능한 습득에 대한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스와인은 합리적인 외부 요인들 또한 사람들이 언어를 배울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As long as you provide a sufficient number and enter the appropriate forms of language, expression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cquisition and grammar knowledge will be automatically generated. "Theoretically, that is not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In other words. The output of comprehensible input in the course can be naturally occurring, not deliberately. However, Swain believes that is necessary.
충분한 수의 적절한 언어의 형태를 입력한다면 구어와 문어 표현의 습득과 문법 지식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론적으로 그것은 습득을 위해 필요하지 않다." 다른 말로 이 과정에서 이해 가능한 입력의 출력이 인위적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발생한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스와인은 그것이 필요하다고 믿었습니다...
중간중간에 맥락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skip 했습니다.
'외국어교수 이론 > 외국어학습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실에서 CBI 실행 방법 및 CBI 후속 모델들 (0) | 2020.01.03 |
---|---|
McLaughlin의 정보처리 모델 (0) | 2019.12.31 |
PPP, ESA, TBL 방법론(동영상) (0) | 2019.12.24 |
L2 학습자의 오류분석과 중간언어 (1) | 2019.12.22 |
학습자의 오류 분석과 중간언어 (0) | 2019.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