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어교수 이론/외국어학습이론

인지주의에서 구성주의로

by 넥스컴 2020. 1. 8.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학습이란 학습자들의 현재와 과거의 지식에 기반하여 그들의 새로운 생각과 개념을 구성하는 적극적인 과정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구성주의 학습에서는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이해를 기반으로 무엇인가 구성하도록 그들을 돕습니다. 결국 교사의 역할보다 학생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John Dewey(1933-1998)이 종종 이 접근법의 철학적 창시자로 인용되고있고, Bruner(1990)과 Piaget(1972)가 인지적 구성주의자 중에서 주요 이론가로, Vygotsky(1987)는 사회적 구성주의자 중에서 주요 이론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는 두 가지 동영상을 공부한 후 포스팅합니다.

  1.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유사점과 다른 점 (Similarities & Differences Between Piaget & Vygotsky Theories)
  2. 구성주의 학습 이론 (Use a Learning Theory: Constructivism)

1.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사이의 유사점 및 다른 점

https://www.youtube.com/watch?v=6GLYaVnVwDQ (Similarities & Differences Between Piaget & Vygotsky Theories)

Today, we will talk about simil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iaget & Vygotsky theories. Both Piaget and Vygotsky believed that social interaction played an irreplaceable role in cognitive development. Piaget said cognitive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social transmission, which means the learning from others. While Vygotsky believed that social interaction was instrumental in development and that it heavily influenced thoughts and language. 

오늘 우리는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유사점과 다른 점을 이야기하겠습니다. 피아제와 비고츠키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이 인지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믿었습니다. 피아제는 인지 발전은 즉,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학습을 의미하는 '사회적 이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발전에서 중요했으며 그것은 생각과 언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믿었습니다. 

According to Piaget's theory, there are four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that everyone goes through Sensorimotor, Preoperational, Concrete Operational and Formal Operational. And theorized that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nd language can be traced back to actions, perceptions, and limitations by babies. 

피아제의 이론에 의하면, 모든 사람들이 통과해야 하는 4단계의 인지전개의 단계가 있는데 그것들은 감각운동기(Sensorimotor), 전조작기(Preoperational),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및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입니다. 그리고 사고와 언어의 발전이 아기들에 의한 행동, 인지 및 모방으로 추적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In Vygotsky's theories, there i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learning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influential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nd third theory is about the zone of Proximal Learning. The "magic" learning zone in beween what the learners already know and what they are not ready to learn. 

비고츠키의 이론으로 언어 학습과 사고의 발전 사에에 강한 관련이 있습니다. 사회.문화적 요인은 지식의 개발에 영향력을 미칩니다. 그리고 세 번째 이론은 근접학습영역(Zone of Proximal Learning) 즉,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그들이 학습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 사이의 "놀라운" 학습영역입니다. 


2. 학습이론 사용: 구성주의

https://www.youtube.com/watch?v=Xa59prZC5gA (Use a Learning Theory: Constructivism)

[Narrator] Meet teacher Tony. Teacher Tony is having difficulty engaging his students in learning about resource sustainability and waste. His current curriculum doesn't buil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or promot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He feels as students are passive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process. Teacher Tony needs help.

[사회자] 토니 선생님을 만납니다. 토니 선생님은 자원 지속가능성과 폐기물에 대한 학습에 그의 학생들을 끌어들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의 현재 교육과정으로는 의사소통과 협동 기술을 구축하거나 비평적 사고와 문제 해결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그는 학급 과정에서 학생들이 수동적인 참가자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토니 선생님은 도움이 필요합니다. 

[Teacher Tony] Ah I can't get my students learn higher-order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Narrator] Why don't you use constructivism to transform your teaching so that students are actively engaged with problem solving and meaningful contexts. [Teacher Tony] What's constructivism? 

[토니 선생님] 아! 나는 내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을 하도록 배우게 할 수 없어. [사회자] 구성주의를 사용해서 학생들이 문제 해결과 유의미한 문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교수법을 바꾸는 것은 어때요? [토니 선생님] 구성주의가 무엇인가요?   

[Narrator] Constructivism is a learning theory that "equates learning with creating meaning from experience." Learning is more meaninfgul to students when they are able to interact with a problem or concept. Constructivism can help engage and motivate our students by making them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 learning process. 

[사회자] 구성주의란 "경험에서 만든 의미와 학습을 동일시하는" 학습 이론입니다. 학생들이 문제나 개념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때 학습은 학생들에게 더 유의미합니다. 구성주의는 우리의 학생들을 학습 과정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여 여러분의 학생들을 참여하게 하고 동기를 부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Constructivism utilizes interactive teaching strategies to create meaningful contexts that help students construct knowledge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You've probably seen constructivism at work and didn't even know it. Constructivism is often used to teach higher-order thinking skills such as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while also helping students transfer their knowledge to new and different situations. 

구성주의는 상호작용적인 교수 전략을 활용하여 유의미한 문맥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에 기반하여 지식을 구축하도록 돕습니다. 여러분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아마 구성주의를 보았을 터인데 알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는 종종 추론하기와 문제 해결하기와 같은 높은 수준의 사고 기술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고, 학생들이 새롭고 다른 상황으로 그들의 지식을 이전하도록 돕는데도 사용됩니다.

Common examples of constructivism include role-playing or simulating a historical event or time period, debating controversial current event issues and topics.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groups to teach multiple perspectives and allowing students to engage in real-world activities like interships. Now let's see if we can apply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to help solve teacher Tony's problem. 

구성주의의 예제들은 역할극, 역사적 사건이나 당대의 시뮬레이션, 현재 이슈와 주제에 대한 토론 논쟁 같은 것이 포함됩니다. 협동 학습 그룹을 활용하여 다중적 관점을 교수하고 인턴십과 같은 실제 세계의 활동들에 학생들을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이제 구성주의의 원칙을 적용하여 토니 선생님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울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First, teacher Tony must decide how to actively engage his students in the topic. Teacher Tony decides to utilize the idea of problem-based learning to actively engage his students by challenging them to answer a real-world problem. Teacher Tony came up with the following essential question.

먼저 토니 선생님은 그의 학생들이 어떻게 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토니 선생님은  문제 기반 학습의 아이디어를 활용해서 그의 학생들에게 실제 세계 문제에 답을 하도록 도전하게 하여 그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도록 결정합니다. 토니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근분적인 질문에 부닥쳤습니다.  

[Teacher Tony] How can we reduce waste to help sustain earth's resources?  [Narrator] Teacher Tony plans the following activities to help students answer the essential question. First, students will tour a local waste and recycling plant to learn firsthand and how waste and recycling materials from their community are handled. Next, students will weigh and record how many pounds of food scraps their family puts into the regular trash each day. 

[토니 선생님] 지구의 자원을 유지하는데 돕기 위해 어떻게 하며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사회자] 토니 선생님은 다음의 활동을 계획해서 학생들이 기본적인 질문에 답을 하도록 돕습니다. 첫째, 학생들은 지역 쓰레기와 재활용품 처리장을 방문하여 우선 그들의 공동체에서 나오는 쓰레기와 재활용품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배웁니다. 다음, 학생들은 매일 그들의 가정이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음식 찌꺼기의 무게를 재고 기록합니다. 

Then in groups, students will further research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books, on the internet, and by interviewing experts around their community and the country using the telephone and Skype. Finally the student groups will determine how they want to demonstrate their solutions to the essential question. Examples might include student-created books, slideshows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about recyling and the four R's. These learning artifacts could be displayed to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parents at a family recyling night. 

그리고 그룹으로 학생들은 책, 인터넷, 또는 전화나 Skype를 이용해서 그들 공동체와 국가에 있는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통해 문제에 대한 해결을 추가로 조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 그룹들은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그들의 해결책을 어떻게 보여주기를 원하는지 결정합니다. 예로는 학생들이 만든 책, 슬라이드쇼와 재활용과 4R에 대한 공공 서비스 발표와 같은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학습 결과물들은 공동체의 멤버들에게 그리고 가족 재활용 밤 행사에서 부모들에게 전시될 수 있습니다.

After implementing these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teacher Tony, students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ir learning by engaging in problem solving, higher-order thinking skills, and collaborative work.

이러한 구성주의의 원칙을 이행한 후, 토니 선생님과 학생들은 문제 해결하기, 높은 수준의 사고 기술과 협동 작업으로 그들의 학습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Teacher Tony] Using constructivism, really helped engage my students. [Narrator] If you're wanting to build problem solvers and critical thinkers, then you can use constructivism to solve your problems just like teacher Tony. 

https://www.youtube.com/watch?v=Xa59prZC5gA

[토니 선생님] 구성주의를 사용하여 정말로 저희 학생들의 참여를 도울 수 있었습니다. [사회자] 여러분이 문제 해결과 비평적 사고를 구축하기를 원한다면, 구성주의를 사용하여 토니 선생님처럼 여러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 외국어 교수법 이론은 종합편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