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어교수 이론/외국어학습이론

제2언어 습득 이론들 소개(EFL 교사들을 위한)

by 넥스컴 2020. 1. 9.

많은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수법과 이론들을 살펴보았는데 길이가 길어서 작업을 망설이다가 겨우 마친 동영상입니다. 저희와 같이 제2외국어를 학습하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소개된 이론들인데 여기서 다루지 못한 이론들도 있어서 공부하면서 포스팅입니다. 순서는 시대별입니다. 어떤 것은 이론으로 '주의'로, 어떤 것은 '접근법'으로 또 어떤 것은 '관점'으로 보았는데 보기 나름이지만 맞다고 생각됩니다. 각 이론 소개 첫 페이지에 그림 또는 도표가 있는데 잘 보이지 않는 것은 제가 ppt로 작업해서 올립니다.

  1. 행동주의 (Behaviorism) 
  2. 인지주의 (Cognitive Approach)
  3. 구성주의 (Constructivism)
  4. 인본주의 (Humanism)
  5. 사회문화적 관점 (Social-cultural Perspectives)

강사님이 너무 전문적인 용어도 사용하지 않고 편하게 강의하셔서 이해가 쉽고 듣기도 편하네요. 여러 부분에 오역, 오타도 많습니다.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Hello so today we're going to start looking a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and we're not going to make it too technical. And the idea of it is just to have a general overview. Lots of teachers have a lot of knolwedge abou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and some teachers maybe don't have very much explicit knowledg. But there are things that they intuitively feel and in the way that they've probably taught and ideas that they've got from colleagues and so on. There are probably lots of element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y, which they do in fact apply to their teaching into their classes. So the idea here really is to get a general overview of some of these theories and to reflect on how they can inform our teaching.

오늘 우리는 제2외국어 습득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는데 너무 기술적이지 않게 하려고 합니다. 생각은 일반적인 개요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많은 선생님들이 제2외국어 습득 이론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고 일부 선생님들은 그리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관적으로 느끼는 것들도 있고 그런 식으로 가르친 부분도 있고 동료 등으로부터 얻은 지식들이 있을 것입니다. 제2외국어 습득 이론의 많은 요소들이 있고 교실 수업에서 실제 적용하는 부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말씀드리려고 하는 것은 정말로 그러한 이론 중 일부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터득하고 그러한 이론들이 우리의 교수에 어떤 정보를 주는가에 대하여 반영하고자 합니다. 


1. Behaviourism(행동주의)

So, first of all, we have behabiourism and these are based on the ideas of behavioral psychologists like the famous Russian one Pavlov, and he showed how a dog could be made to associate the ringing of a bell with food.

우선 행동주의가 있습니다. 행동주의는 유명한 러시아인 파블로브와 같은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의 생각에 기반한 것입니다. 그는 개가 벨과 음식을 어떻게 연상시키는가를 보여주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And Skinner took these ideas and expanded them and applied them to the learning of a language, and he empasized the importance reinforcement - positive reinforcement or rewards of the desired language behavior, a correct language and the kind of punishment of undesirable behabior. And what he thought was that this model explained language development, so he argued for breaking tasks down into small sequential steps and programming learning by providing positive reforcement, lots of positive reinforcement.

그리고 스키너는 이 생각을 가지고 와서 확장해서 언어 학습에 적용하게 됩니다. 그는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올바른 언어인 의도하는 언어 행위에 대한 긍정적 강화 또는 보상,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행위에 대한 일종의 처벌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생각한 것은 이 모델이 언어 발전을 설명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과제를 작은 순차적인 단계로 나누어서 학습을 프로그램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럼으로 긍정적 강화, 많은 긍정적 강화를 제공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And the idea has big  limitations because it suggests that language is learnt only by imitation, which makes you think well so how did the first people learn language who were they imitating. It takes the idea that a child or a language learner is a tabula rasa, which is like a blank slate, so like an empty page, and suggest that language is nurture, so languages conditioning rather than something that the learner learns for themselves, and it's a theory of has limitations. 

그의 이론은 언어는 모방에 의해서만 학습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그 생각은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 생각해 보십시오. 인류의 첫 사람들이 어떻게 언어를 배웠을지 말입니다. 그것은 어린이나 언어 학습자가 백지 상태에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빈 종이와 같다는 말이고 언어는 후천성이어서 학습자가 스스로 배우는 그 어떤 것보다 언어 조건이라고 주장합니다. 이것이 이 이론의 한계입니다.

But it's very common around the world still. It's had a big influence on the way language is a taught. In the kind of companies which use language laboratories, you'll see a methodology based on this ideas of language learning. Also you get lots of repetition, and drilling and substitution activities, for example for prepositions "The pen is on the table". Everybody repeats "The pen is under the table." Everybdy repeats "The book is next to the phone.", "The picture is next to the phone." And we get this kind of substitution, so this is that was kind of one of the first significant theories about how we acquired, but it's kind of out of fashion and it's been decided more or less that this isnt the way we learn languages today. If we only learn by repetition, and imitation, how is it that children make very logical mistakes that they've never heard?

그러나 이 이론은 아직 전세계에서 매우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언어를 배우는 방식에서 그것은 큰 영향력을 주었습니다. 어학 실험실을 사용하는 회사들에서 여러분이 이러한 언어 학습에 기반한 방법론을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반복을 하게 되고, 드릴링 연습, 대체 활동 - 예를 들어 전치사 사용에서 'The pen is on the table' 모두 따라 합니다. 'The pen is under the table.' 모두 따라 합니다. 'The book is next to the phone.' 'The picture is next to the phone.' 우리가 이러한 대체 훈련을 하고, 이 이론이 우리가 어떻게 언어를 습득했는지에 대한 처음이고 중요한 이론 중의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오래된 이론이고 그것은 더 이상 오늘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방식은 아닙니다. 우리가 반복과 모방으로만 언어를 배운다면, 어떻게 어린이들이 들어보지 못한 매우 논리적인 실수를 할 수 있을까요? 

Question? 

  • What do you think are three of the severe limitations of this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언어 학습에 대한 이 접근법의 심각한 3가지 제한을 생각해 보십시오)

I've already given you a few little clues about this, but this is your first question for reflection.
이 점에 대해서 이미 몇 가지 단서를 주었지만 이것은 여러분이 생각해 볼 첫 번째 질문입니다.) 


2. Cognitive Approaches (인지주의 접근법)

The inators' perspective is where this starts to get interesting. It was definitely a reaction against the behaviorist approach, and it's much more encouraging because the idea is that learners are actually using their brains to find patterns. They're hypothesizing, they're analyzing, they're deducing information. So their mind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So, they have to identify patterns, work out rules and experiments, take chances and also making mistakes is something that'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learnng process. 

어디에서 이 접근법이 시작되었는지 이 접근법의 관점은 흥미롭습니다. 이 이론은 분명히 행동주의자들에 대한 반대로 일어났고 그들의 생각은 학습자들이 실제로 자신의 두되를 사용해서 패턴을 찾아낸다는 것이기 때문에 많이 고무적입니다. 그들은 가설을 하고, 분석하고, 정보를 추론입니다. 그래서 학습 과정에 그들의 마음이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패턴을 발견해야 하고 규칙을 찾아내고 실험하고, 시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실수를 하는 것도 학습 과정의 하나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nd there are kind of two schools of thought in this latest approach. The first one and really the big name here is known Chomsky. And he thought that there was a specific part of the brain that was to all of us. That was specifically dedicated to learning languages, and we had this language learning ability built into us. And this has had an enormous influence on language teaching although there are no specific teaching methodologies that have been based on this assumption. 

최근의 이 접근법에 두 개의 신조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정말로 촘스키로 알려진 정말로 큰 이름입니다. 그는 우리 모두에게 두뇌의 특정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부분이 특별히 언어 학습에 기여를 한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우리 안에 이러한 언어 학습 능력이 내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가정에 기반한 특별한 교수 방법론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은 언어 교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The other school of thought is that really we use our general cognitive functions - the ones we use to complete other tasks and other things in life, and those are the ones that we also apply to learning language. So it is the same skills of looking for patterns and arriving at conclusion and so on. And so a typical lesson based on this kind of a test cognitive approach, the teacher might ask students to analyze a text, to analyze some language, and to try to identify which language structures are included there, and how they're being used so that the students can arrive at their own conclusions and then use their minds to learn the language. So, this is starting to get a little bit more interesting than the behaviorist approach.

다른 신조는정말로 우리가 우리의 인지 기능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과제를 수행하거나 인생에서 다른 것들을 완성하기 위해 우리가 사용하는 기능들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기능들을 우리가 언어 학습에 적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도 패턴을 찾고 결론에 도달하는 등의 같은 기술입니다. 그래서 일종의 시험적 인지 접근에 기반한 전형적인 수업으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텍스트를 분석하고 어떤 언어를 분석하고 어떤 언어 구성이 어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규명하고,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결론에 도달하도록 그것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물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행동주의 접근보다 이 방법이 훨씬 흥미롭다는 것입니다.  

It's not perfect, it's not without critics. There'd be lots of theories since then, but it starts to better explain even if only in a partial way how we actually learn languages or at least one of the ways in which we learn languages.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비평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그 이후 많은 이론들이 있었지만 우리어 어떻게 언어를 배우는지 부분적으로도 잘 설명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방법 중 하나는 말입니다. 

Question: 

  • Read the following set of words once, turn over the paper then try to recall the words in the correct order. How well did you do?
    (다음의 단어 세트를 한번 읽고 종이를 뒤집어서 단어들을 올바른 순서로 기억하는지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잘했는지?)
    • The brain is a part dedicated to language acquisition, or...
      두뇌는 언어 습득에 헌신하는 한 부분이다 또는...
    • General cognitive function is used to acquire language
      일반적인 인지 기능을 사용하여 언어를 습득한다.
    • Using mental strategies
      정신적 전략 사용하기
    • Learners are invited to analyse language, notice patterns, deduce rules, etc.
      학습자들을 초대하고 언어를 분석하고 패턴을 알아보고 법칙을 유추하는 등 
  • Read the following set of words once, turn over the paper then try to recall the words in the correct order.How well did you do?
    (다음의 단어 세트를 한번 일고 종이를 뒤집고 단어들을 올바른 순서로 기억하는지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잘했는지?)
    girl   flag    wall    dance    play    heart

  • Now do the same for the next set of words. Did you do better or worse and why do you think this might be the case?
    (이제 다음의 단어 세트를 같이 시도합니다. 더 좋아졌나요 아니면 나빠졌나요.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gate    late    mate    great    state    weight

Well the question is an interesting little task to do. There is a difference beween the two list of words and most people generally find one list easier to remember than the other. So try to do the task, see how you do and speculate on what happened on why?

질문은 흥미로운 과제 수행하기입니다. 두 단어 명단 사이의 차이점이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한 명단을 다른 명단보다 쉽게 찾습니다. 과제를 해 보시고 어떻게 했는지 확인하시고 어떤 부분에서 왜 잘못된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Constructivism (구성주의)

For constructivists, people are involved throughout their whole lives really in constructing their own knowledge and we do this from how we personally understand exeriences and everybody does this in their unique way. So you've probably experienced this. For example, at the end of a lesson, you ask your students what they've larned. They'll all tell you something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because they've all experienced it and constructive meaning in their own - particular, individual way.

구성주의자들은 정말로 그들의 온 삶을 그들 자신의 지식을 구축하는데 몰두했습니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경험을 이해하는 방법과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특이한 방식으로 경험을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런 것을 여러분은 경험했을 것입니다. 예로 수업이 끝난 뒤 여러분의 여러분이 학생들에게 그들이 배운 것을 물어봅니다. 그들은 완전히 다른 무엇인가를 여러분에게 말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모두 그 점을 경험했고 그들 자신의 구성적인 의미 - 특히 개인적인 방식으로 - 를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And the work of Piajet was particularly influential i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vist ideas. And these idea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language teachers, as learners are exposed to language, to new language they incorporated this knowledge into what they already know into their existing knolwdge. And this means that they modify what they already know.

구성주의 사고의 발전에서 특히 피아제의 작업은 영향력이 컸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언어 교사들에게는 중요한 암시를 주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들이 언어에, 새 언어에 노출이 되고,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전 지식 안으로 새 언어를 통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수정한다는 말입니다.

Bruner was another important figure in constructivist ideas, and he argued that learners need to know how to learn and to develop their cognitive capacities by being absorbed in challenging and meaningful problems. So they need to make guesses, speculate use intuition, take risks, and have curiosity. But they also need to feel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브루너도 구성주의 사고에서 중요한 인물인데 그는 학습자들은 학습하는 방법과 그들의 인지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도적적이고 유의미한 문제들에 관여하면 말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추측을 해야 하고, 사용 직관력을 가늠하고, 위험을 감수하고 호기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그들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느낄 필요 또한 있습니다.

An extension of this idea is that we are continually creating and testing hypotheses and this is how we learn. We either refute our hypotheses or we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we're right based on our experience and knowledge that we've constructed. So a teacher who follows a kind of costructivist line, might start a lesson by eliciting personal or emotional responses from learners. And also you know things that they maybe already know about a topic. And this might be organized in a visual way, and then they'll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create new knowledge with the foundation of what they already know. So, that basically is constructivism. The idea that through experience we construct our own reality, again using our brains. But in a specific context, in which we find ourselves. Here's something else for you to think about.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이 생각의 확장은 우리는 계속해서 가설들을 만들어 내고 시험하고, 이것으로 우리가 학습한다는 것입니다. 또는 우리의 가설들을 반박하거나, 우리가 구성하였던 우리의 경험과 지식에 기반하여 우리가 맞다는 결론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종의 구성주의 라인을 따르는 교사는 학습자들로부터 개인적이거나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면서 수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시겠지만 그들은 이미 주제에 대해서 알고 있을지 모릅니다. 그리고 이것은 시각적으로 구성되어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기반과 같이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날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것이 기본적으로 구성주의입니다.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실체를 구성한다는, 다시 말하면 우리의 두뇌를 사용해서, 그리고 우리가 우리 자신을 발견하는 특별한 문맥 안에서 말입니다.

Question? 

  • What do you think are the pros and cons of learning a language in this way? Does it suit all kinds of learners? Do you have any personal experience of this?
    (이런 식으로 언어를 학습하는 것에 대한 찬반이 무엇 일지요? 이 방식이 모든 학습자들에게 적합할지? 여러분은 이런 개인적인 경험이 있는지? 

Does this kind of learning suit everybody? And do do you any experience of this? 


4. Humanism (인본주의)

Humanistic approa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whole person when learning. So, their individuality and the important role that their feelings and emotions play. And Maslow formed this hierarchy, What he suggests, what is argues is that it's very diffifult to fulfill the higher order needs if we don't have lower order needs fulfilled. So we start at the very bottom obviously, if your students don't have the pshysiological needs, the water, warmth, the rest, then they're probably not even going to be in class. So there the basic kind of survival needs. 

인본주의 접근법은 학습 시 전인을 고려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래서 학습자의 느낌과 감정과 같은  개인성과 중요한 역할이 작용합니다. 매슬로우는 아래의 체계를 구성하였습니다. 그가 제안하는, 주장하는 것은 하위에 있는 필요가 충족되지 않으면 상위에 있는 필요를 충족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일 아래부터 시작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만일 여러분의 학생들이 물, 따뜻함, 휴식과 같은 생리적 필요가 없다면, 그들은 아마도 수업에도 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이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After that, the need to feel to feel secure and then, and beyond that the need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for survival. But if we're looking for developing the students self-esteem and then actually getting them fill their potential and to be able to learn, then we obviously need a very strong basic and psychological foundation. So, teachers really need to taking this into account. They need to create a safe, secure, productive, happy learning environment.

그다음은 안전하다고 느낄 필요가 있습니다. 생존에 필수적인 필요를 넘어서, 학생들의 자부심 개발을 기대할 경우, 실제로 그들의 잠재력을 채워야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우리는 매우 강하고 기본적인 생리학적 기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교사들은 이점을 정말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들은 안전하고 보장되고 생산적이고 행복한 학습 환경이 필요합니다. 

So a humanistic teacher might start a class by getting learners to focus on a partner and imagining how that partner feels. Or by closing their eyes and visualizing something, or by taking a very effective and emotional routine, and asking them to explore their own feelings or doing some kind of activity to get them into a positive frame of mind. So, it goes well beyond just the cognitive here.

따라서 인간적인 교사는 학습자들이 파트너에게 집중하도록 하고 파트너의 기분이 어떤지 상상함으로 수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는 그들의 눈을 감고 무엇인가 시작화하거나, 또는 매우 효과적이고 감정적인 상투적인 것을 하고, 그들에게 그들 자신의 기분을 알아보도록 요구하고, 그들이 긍정적인 마음 상태로 들어갈 수 있도록 일종의 활동을 시작하면서 수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인지의 바로 위로 가는 것입니다.

Humanism looks at the whole person and focuses holistically on the whole person, takes the whole individual into account. 

인본주의는 전인을 살피고 전인에 대하여 전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전인을 중요시하는 이론입니다. 

Question? 

  • Do you think that the affective side of learning is in opposition to the cognitive side? Are they equallly important? 
    (인지주의에 반하여 정서적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두 이론 다 똑같이 중요할까요?)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affective side in the opposition to the cognitive side? Are they mutually complementary? Is on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What do you think? 
(인지적 측면에 반하여 이 이론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두 이론이 상호보완적인지? 다른 이론보다 한 이론이 더 중요한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 Social-cultural Perspectives (사회문화적 관점)

It's easy to see how this is an extension of earlier theories of language acquisition. Thing is here that socio-cultural perspectives do not separate the individual from the context in which they're learning. Sees learning as essentially a social process... There is a double direction really - the social context has an impact on the individual but individual by participating also influences the social context. So you can imagine the situation of a class. You might have 12 people in a class, one very dominant personality or somebody with very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on the day that student doesn't come to class, maybe the whole dynamic of the class changes. 

이 견해가 언어 습득의 이전 이론의 연장이라는 것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사회문화적 관점은 학습자들이 배우는 문맥에서 개인을 분리시키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 학습을 근본적으로 사회적 과정으로 보는 것입니다. 실제로 두 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사회적 맥락은 개인에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참여함으로 개인은 사회적 맥락에게 영향을 줍니다. 한 학습의 상황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한 반에 12명의 학생들이 있고 한 명이 매우 탁월한 인격이거나 매우 특별한 성격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 학생이 수업에 오지 않은 어느 날, 아마도 학급의 전체적 동력은 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MdseB-EB8Y&t=17s

I'm sure you've experience this. So, big name here Vygotsky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sychologists in the area, and other writers applied his ideas, specifically to language learning to the learning of a foreign language. And indeed the mother tongue, learning happens when the individual, the student, the learner is faced with something that's a little bit beyond their current level of mastery, a little bit beond what they can do. So here it'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peers and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a little bit, or a lot above the current level of the learner. And they can use scaffolding to help the learner get to the next level.

여러분들은 이런 것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비고츠키와 같은 명사가 이 분야의 가장 영향력 있던 심리학자들 중 한 명이었고 다른 작가들은 그의 생각을 언어 학습에, 특히 외국어 학습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실제 모국어의 경우 개인, 학생, 학습자가 그들의 현재 학습 수준을 약간 넘는 어떤 상황 -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을 약간 선회하는 - 을 만날 경우 학습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보다 약간 또는 많이 위에 있는 동료, 교사와 부모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은 비계(飛階, 발판, scaffolding)를 사용해서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This space between what the student or the learner can do at the moment and they're able to do with, some help is calle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this is quite famous in educational circles.

학생 또는 학습자가 현재 할 수 없는 것과 그들이 도움을 받아 할 수 있는 것 사이의 공간, 그러한 어떠한 도움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이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교육용 서클(educational circles)에서 매우 유명합니다. 

ZPD(근접발달영역)의 개념도

And so students are often working in groups discussing, negotiating. And while they're doing cognitive tasks, they're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And verbalizing what they're doing, so there's a metacognitive element here. And they're using mental processes such as memory, decision-making, problem-solving and things like this. So in a class which has been informed by social-cultural theory, teachers will be scaffolding learners to reach the next level of ability. And they'll tend to encourage learners to work in group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they're conducting tasks. And they'll always also be pushed to discuss how they're learning in order that they can become more conscious of this. 

그런 이유로 학생들은 종종 그룹으로 토의하고 협상을 하곤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인지 작업을 하는 중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하는 것을 말로 설명하면서 여기에 초인지 요소가 있습니다. 그들은 기억하기, 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같은 정신적 과정을 사용하게 됩니다. 사회문화 이론으로 정보가 제공된 교실에서 선생들은 학생들이 다음 단계의 능력으로 도달하도록 발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자신의 과업을 수행할 때 선생들은 학생들이 그룹으로 작업을 하고 서로 의사소통하도록 격려하곤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배울 것인지를 토의하여 그들의 과제를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Question? 

  • How have the language learning contexts which you have experienced affected your learning and in what ways do you think you might have affected the learning of others in these contexts? Be specific.
    (여러분이 경험한 언어 학습 문맥이 어떻게 여러분의 학습에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문맥 내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에 여러분이 영향을 주었을지 생각해 보세요. 구체적으로.) 

And now there's another question for your consideration again. Thinking a little bit about your personal experience. 
(그리고 여기에 여러분이 고려할 다른 질문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에 대해 약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TASK

  • Now analyze the following classroom activities, make a note of the key features and try to identify which psychological perspective(s) each activity reflects.
    (다음의 교실 활동들을 분석하고 주요 특징을 기술하고 각각의 활동이 반영하는 심리학적 관점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So now we've come to the time for you to really do some work. You have here 4 different classroom scenarios and what you have to do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which are described and to try to decide what the key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ose classrooms is. And also identify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y, perspectives that we've been talking about in this video. And see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se activities. And in some of them, there is something of an overlap. So it's not necessarily just one.

이제 어떤 작업을 할 시간이 정말로 왔습니다. 여기에 4개의 다른 교실 시나리오가 있고 여러분이 할 일은 설명된 활동들을 분석하고 각각의 교실의 주요 특징을 결정하고, 제2언어 습득 이론의 심리학적 관점 - 이 비디오에서 우리가 말했던 관점들 - 을 찾아봅니다. 그리고 그 관점들이 이러한 활동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봅니다. 일부는 겹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꼭 하나만 될 필요는 없습니다.


Classroom A

The teacher wants to teach the difference between "since" and "for". SHe writes the following sentence on the board: 

"I've been here SINCE three o'clock."

She asks the class to repeat the sentence. Next she gives the class some more prompts. She says "nine o-clock in the morning" and the class completes the entence "I've been here since nine o'clock in the morning." Then she give the following prompts: "2012", "my birthday", "March", "the day before yesterday" and the class complete the sentences. Then she writes:

I've been here FOR three house."

She continues giving prompts as above until the class is repeating the structure correctly.


Classroom B

The teacher wants to teach the order of adverbs in a sentence. He writes some sentences on the board: 

" I went there yesterday."
"Come here at once!"
"I worked in the garden at the weekend."
"They played in the playground this morning."

He asks the students to underline in red any adverbs of place and in blue any adverbs of time. Then he asks them to examine the sentences and see if they can find any pattern or rule before comparing what they find with a partner. He then asks individual students to tell him what they discovered and explain their findings to the class.


Classroom C

The teacher works in an area where there was an earthquake recently. She draw two concentric circles on the board. 

She asks the students to write anythng they know about earthquakes in the big circle and tell them that they can include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 too. She then asks them so explain their circle maps to their partner. After they have done this she hands out four different recent newspaper articles (one to each student so that they don't all have the same one) and asks them to read them individually. Then in groups of four she asks each student to share what they read in their article with the other three. Finally, each student completes their own circle map with the new things they have learned. The teacher points out that everybody's circle map will be different and invites them to compare with their classmates and explain why they thought each piece of information was important. 


Classroom D

The teacher starts the lesson by asking the students to stand facing a partner. They imagine that there is a mirror between them. While one student performs different movement, the other acts as a reflection. When the teacher feels the class has relaxed, the students are asked to explain how they felt while they were doing the activity and the words and phrases are collected on the board. 


강사님의 질문에 답을 잠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A와 B유형의 수업모델은 저희가 학교에서 한참 공부할 때 사용하던 out-of-fashion 방식입니다. 지금도 한국의 영어 교육현장도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요(슬픈 현실이지만 인정해야~~).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D유형으로 수업 전 몸풀기와 같은 워밍업 형식으로 있을 수 있는 학생들의 불안감 등을 풀어준 뒤에, C유형과 같은 수업 진행을 찬성합니다. 행동주의 학자들의 주장처럼 우리 인간의 mentality에 쥐나 비둘기를 대상으로 한 결과를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일부는 아직 적용이 되지만(예로 수업 후 잘하면 사탕 등을 주어서 동기부여를 하는 등의 -- 그러한 방식도 수업 중 분위기 전환으로 가끔 적용해야...), 근본적인 교육정책은 될 수 없습니다. 사람은 동물이 아니고 두뇌로 움직이는 개별적이고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C유형의 수업을 적용한 후에 각 학생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한 생각을 스스로 정리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짝과도 이야기를 나눈 후, 소그룹으로 모여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비교하고, 정리하고, 어떻게 발표할 것인지 결정하고, 공통으로 주제에 대한 그들의 논쟁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고,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입니다. 수업 후 교사의 평이 있고 그날 과제를 통해서 배운 내용을 같이 정리합니다.

이전과 같이 같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교육은 아닙니다. 교육은 '결과'를 위해 팀웍으로 같이 작업하는 '과정'이 중요한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인지적'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는 인성을 가지고 있고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전략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학습 위치에서 교사의 도움(즉, 비계(飛階, 발판, scaffolding)를 사용하여 다음 단계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그 작업은 학생과 교사, 학생과 동료, 때로는 학생과 부모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통해 인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