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원 자격증 공부/강의, 활동, 자료 등

커리큘럼과 교수요목은 무엇인가?

by 넥스컴 2019. 12. 28.

온라인 수업 중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 수업 중 한국어교육과정론이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영어로 Curriculum이라고 하지요 교육과정과 땔 수 없는 관계가 있는 것이 교수요목(Syllabus)인데 수업에서도 중요해서 2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기 다른 과목으로 수업을 받다 보니 교육안(Lesson Plan), 교육과정(Curriculum), 교수요목(Syllabus)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어 과정을 준비하는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많이 혼동이 오는 것이 사실입니다.

 

교육과정(Curriculum)은 교육 과정이나 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쳐야 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말하고 교수요목은 특정 과목에서 교수해야 하거나 커버되어야 하는 주제의 요약으로 설명됩니다. 그리고 교육안(Lesson plan)은 수업 중에 학생들이 수행하고 어떻게 배울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목적을 정리한 상세한 단계별 이정표입니다.

 

요즘 교재들이 통합교재로 잘 개발되어 있고 특별한 준비가 없어도 큰 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당장 현장에 투입되어 수업을 customizing 해야 할 때 바로 만나게 되는 내용이기도 해서 수업 중에 정리를 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어제 유튜브에서 적절한 자료를 찾지 못했는데 슬라이드 쉐어에서 찾은  슬라이드로 구성된 자료와 온라인 수업 교안을 cross-checking 하면서 공부하려고 합니다. 세 가지의 요소 중 가장 큰 단위가 될 교육과정(Curriculum)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커리큘럼은 무엇인가?

교육과정 즉, 커리큘럼의 어원은 라틴어 'Currere(달리다)'에서 기원하는데 경마장에서 말이 경주를 하기 위해 출발점에서 종착점까지 달려가야 하는 코스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계획입니다. 교육과정은 언어 학습, 학습 목적과 경험, 평가와 학생과 학습자의 역할과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입니다. 교육과정이 교실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학습 항목과 제안들이 포함됩니다. 정리하면 교육과정 설계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교육의 목적 및 목표
  • 학생과 학습자의 역할과 관계 설정
  • 교육 실천 방안 및 평가

교육과정의 구성요소(Brown, 1989)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온라인 수업 교안 중에서 인용)

  1. 요구분석(need analysis)
  2. 목표(objectives)
  3. 시험(testing)
  4. 교재(materials)
  5. 교수법(teaching)
  6. 평가(evaluation)

교육과정은 계획(요구분석 및 상황분석, 교육목적 및 교육 목표 설정), 시행(교수학습 활동), 평가(교육평가)를 통해서 개발되는데 그중 계획 단계의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단계에서 교수요목(syllabus)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교육과정 안에 교수요목이 있다는 설명입니다.

 

교수요목은 무엇인가?

교수와 학생들의 학습을 통해 달성되어야 하는 계획, 즉 학습자들에게 노출되어야 하는 내용의 요약입니다. 즉 무엇을 가르치는가(What to be taught)와 어떤 순서로 가르치는가(In what order)을 더하면 교수요목(syllabus)이 됩니다.

 

The Learning Pyramid

위의 '학습 피라미드'를 보면 지식 유지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공부 방법과 자료를 변경할 경우 학습한 내용에 대한 기억유지와 정보 기억을 개선시키고 학습 경험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때로는 'cone of learning'으로 불리는 학습 피라미드는 National Training Laboratory에서 채택된 것으로 학생들이 교재에서 읽은 내용의 약 10%만을 기억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등 적극적인 방식으로 학습을 받은 경우 거의 90%를 유지하고 있다고 제안합니다. 

 

즉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교수법'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학습법'의 선택이 학습 효과에 얼마나 직접적으로 반영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단서입니다. 이 모형이 제시하는 바는 일부의 학습 방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 효과적이고 학습법을 변경하게 되면 더 깊은 학습과 장기간의 기억으로 이어진다는 연구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수업(5%), 교재 읽기(10%), 오디오/시각효과(20%), 제시(30%), 그룹 토의(50%), 행동으로 실천(75%), 그리고 발표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교수(90%)의 지식 기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에는 교사의 교수요목이 수동적이냐 능동적이냐에 따라 학습자의 참여도도 같이 움직이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교사의 철저한 직업의식이 요구되는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Edgar Dale의 'Cone of Learning

위의 학습 피라미드를 에드가 데일의 '피라미드 콘'으로 쉽게 설명된 것이 있어서 인용합니다. 학습 후 2주 후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이 기억한다고 합니다.

  • 읽은 것의 10% (What they READ)
  • 들은 단어의 20% (What they HEAR)
  • 눈으로 본 것의 30% (What they SEE)
  • 듣고 본 것의 50% (What they HEAR & SEE): 영화 감상, 전시회 관람, 설명회 참여 등
  • 말한 것의 70% (What they SAY): 토론 참여, 대화하기 등
  • 말하고 행동한 것의 90% (What they SAY & DO): 인상적인 프레젠테이션 발표, 고무적인 실제 경험, 실제 행동하기 등

실제 청중인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것(necessaries)와 그들의 학습 목표와 현재 능력 사이의 차이(lacks)와 그들이 원하는 것(wants)을 이해하는 것이 그들의 요구(needs)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요구가 분석되면 교수요목에서 교육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학습자들이 더 깊이 파면 팔수록 그들의 학습에 대한 기억력은 장기간 보유되고 그 역할은 facilitator인 교사가 해야 할 몫입니다. 

 

요약하면 교수요목에는 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계획, 또는 교육 내용의 선정과 배열 등이 포함되는데 다음의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어떤 자료를 선정할 것인가
  • 무엇을 개발할 것인가
  • 학습 과제와 연습 활동 유형의 선정과 배치

교실 내용의 정의에서 '교수요목'이 내용의 선정과 배치에 관련되었다고 하면 방법론(methodology)은 학습 과업과 활동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교수요목이 중요한 이유는 공부 시간, 평가와 자료 읽기를 더 잘 관리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확신감을 주고 로드맵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다음 포스팅에서는 교수요목의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댓글